반응형
해킹 사태와 함께 등장한 SKT위약금면제
2025년 4월 SK텔레콤에서 발생한 대규모 유심 해킹 사건 이후, 정부와 SKT는 “SKT위약금면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사 결과 SKT의 보안 과실이 확인되자, 정부는 약정 해지 고객에게 위약금(조기해지금) 전액 면제를 권고했습니다. 이에 SKT는 4월 19일 0시 이후 해지·번호이동한 고객뿐 아니라, 7월 14일까지 해지 예정인 고객에게 위약금을 모두 면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배경 – SKT 해킹과 정부 조사
민관 합동조사단은 이 해킹이 2021년 8월부터 시작돼 2022년 SKT가 이상징후를 인지했음에도, 신고 또는 보안 조치를 적절히 수행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가해자는 약 2,700만 가입자 IMSI 정보를 유출했고, SKT 보안 체계의 미흡함도 드러났습니다. 과기정통부는 “회사의 귀책 사유에 해당하며 위약금 면제가 정당하다”고 결론지으며, SKT는 이에 즉각 따랐습니다
SKT위약금면제 대상 및 신청 절차
- 적용 대상
- 2025년 4월 19일 0시 이전 가입자로, 해당일 이후 해지·번호이동했거나 7월 14일까지 예정인 고객
- 단말기 할부금은 면제 대상이 아니며, 오직 통신 약정 위약금만 해당
- 신청 절차
- 7월 15일 이후 T월드 앱·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대리점에서 위약금 환급 신청
- 신청 완료 시 7일 이내 등록한 계좌로 환급
- 예외 대상
- 해킹 이후 재약정·기기변경한 고객
- IoT 회선, 단말기 할부만 해지한 경우 등
추가 보상 및 소비자 반응
SKT는 위약금 면제 외에도 다음 보상책을 함께 발표했습니다:
- 8월 통신비 50% 할인
- 8월~12월 매월 50GB 추가 데이터
- 알뜰폰 포함 전 가입자 대상 혜택 제공
그러나 소비자들은 **‘SKT위약금면제’ 기간이 단 10일(7/4~7/14)**에 불과해, 해지 시기를 강요하는 꼼수라고 비판합니다
실제 위약금 면제 발표 후 단 첫날에만 약 1.6만 명이 번호이동을 했으며, 해킹 이후 이탈은 총 64만 명 이상입니다
마무리 요약
- “SKT위약금면제”는 이번 해킹 사태에 대해 SKT의 책임을 정부가 인정하며 나온 조치입니다.
- 4/19~7/14 해지(번호이동 포함) 고객 대상으로 위약금 전액 면제되며, 신청은 7/15~ 가능.
- 단말 할부금은 면제 대상이 아니므로 주의 필요.
- 추가로 8월 통신비 할인, 추가 데이터 등의 보상도 함께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소비자 반응은 기간 단기 설정에 대한 불만이 많으며, 향후 제도 개선 요구가 예상됩니다.
해지·번호이동 고려 중이라면, SKT위약금면제 대상 여부를 T월드 앱 또는 고객센터에서 확인하고 꼭 신청하세요!
SKT위약금 조회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