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도 정부는 경영이 어려운 소상공인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그중 단연 주목받는 건 소상공인 경감크레딧, 흔히 소상공인 50만원 지원이라고 불리는 제도입니다.
이 글은 “소상공인 50만원 받는법”을 궁금해하는 사장님들이 한눈에 쏙 이해할 수 있도록,
신청 조건부터 실제 받는 방법, 어디서 쓰는지까지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읽고 나면 더 이상 복잡하게 검색하지 않아도 바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Q. 나라에서 준다는데, 대체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많은 소상공인들이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은 “나라에서 준다는데, 대체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입니다.
사실 이번 소상공인 경감크레딧은 신청이 꽤 간단한 편입니다.
공동인증서(사업자용)만 있으면 부담경감크레딧.kr 또는 소상공인24 사이트에 접속해
본인 인증하고 사업자 정보를 확인하면 끝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정부가 2023~2024년도 매출자료(부가세 신고 내역)를 기준으로
연 매출 1원 이상 ~ 3억 원 이하의 정상 영업 사업자를 자동 선별합니다.
그러니 따로 복잡한 서류를 올리거나 증빙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Q. 50만원을 현금으로 계좌에 주는 건가요? 아니면 어디로 받는 건가요?
그리고 또 많이들 궁금해하는 게 “50만원을 현금으로 계좌에 주는 건가요?
아니면 어디로 받는 건가요?” 하는 부분입니다.
소상공인 경감크레딧은 계좌로 현금이 입금되는 방식이 아니라,
사장님이 신청 시 등록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충전되는 방식입니다.
이게 핵심입니다.
카드에 포인트처럼 들어간다기보다는,
카드사에서 공공요금 및 4대보험을 결제할 때 자동으로 차감되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별도의 지역화폐나 온누리상품권처럼 수령처에 가서 받는 것도 아니고,
등록만 해두면 끝이라 훨씬 간편합니다.
Q. 아무 데나 쓸 수 있나요? 생활비, 밥값, 쇼핑 이런 데 써도 되나요?
그렇다면 “아무 데나 쓸 수 있나요? 생활비, 밥값, 쇼핑 이런 데 써도 되나요?”
많은 소상공인이 이렇게 물어보는데,
소상공인 경감크레딧은 이름 그대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지원이라
전기, 수도, 가스 같은 공공요금,
그리고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 보험료를 낼 때만 사용됩니다.
즉 생활비처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돈은 아니지만,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을 줄여주기 때문에
사실상 그만큼 가게 통장에서 돈이 덜 빠져나가는 효과가 있습니다.
Q. 그럼 50만원을 한 번에 주는 건가요? 아니면 그 안에서 쓸 때마다 주는 건가요?
또 자주 헷갈리는 게 “그럼 50만원을 한 번에 주는 건가요? 아니면 그 안에서 쓸 때마다 주는 건가요?” 입니다.
정답은 총 50만원 한도로, 사용 시 자동으로 차감되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전기요금으로 10만원이 카드에서 결제되면,
거기서 정부 지원금 10만원이 빠져나가고, 남은 한도는 40만원이 됩니다.
그래서 2025년 12월 31일까지 이 한도를 다 쓰면 더 이상 혜택은 없고,
그때까지 못 쓰면 자동으로 소멸되니 꼭 기간 안에 공과금이나 보험료 결제에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 핵심만 다시 정리하면?
- 누가 받을 수 있나?
→ 20232024년 매출 13억, 정상 영업 중인 소상공인 (유흥, 사행성 등 제외) - 어떻게 받나?
→ 공동인증서로 부담경감크레딧.kr 또는 소상공인24에 접속 → 카드 등록 → 신청 - 어디로 받나?
→ 사장님이 등록한 카드(국민·농협·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BC)로 충전 - 어디에 쓰나?
→ 전기·가스·수도·4대 보험료 결제 시 자동 차감 (생활비 X) - 언제까지 쓰나?
→ 2025년 12월 31일까지, 그 안에 써야 소멸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