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급정보

기숙사 보증금 환급받는 방법

by 쏘시개 2025. 5. 18.

기숙사에 처음 들어갈 때는
대부분 입주비, 보증금, 관리비 선납 등 다양한 명목의 금액을 납부하게 됩니다.

하지만 퇴실할 때,
“언제 어떻게, 전액 돌려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죠.

특히 일부 학교나 기관은
별도 신청 없이는 환급이 지연되거나 누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숙사 퇴실 후 보증금을 환급받는 방법과 절차
2024년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1. 기숙사 보증금이란?

기숙사 보증금은
기숙사 입주 전 납부하는 예치금 형태의 비용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설정됩니다.

항목용도
보증금 시설 파손 대비 예치금 (퇴실 시 환급)
입사비 입주 시 1회 납부, 보통 환불 불가
관리비 월 단위 비용, 사용분 차감 가능
 

보증금은 계약상 문제가 없을 경우 전액 환급 대상입니다.


🏫 2. 대학 기숙사 보증금 환급 절차

✔️ 환급 시기

  • 보통 퇴실 후 2~4주 내
  • 학기 종료 또는 계약 종료 기준

✔️ 환급 절차

  1. 퇴실 신청서 제출 (학교 포털 or 사무실)
  2. 퇴실 점검 완료 → 이상 없을 경우 보증금 전액 반환
  3. 개인 계좌 등록 필수
  4. 학교 재무처에서 환급 처리 (이메일/문자 통보)

📌 파손, 미청소, 체납 시 일부 차감 환급될 수 있습니다.


🏢 3. 회사 기숙사·공공기숙사 환급 절차

✔️ 공공기숙사 (LH·SH 등)

  • 계약 만료 or 중도 퇴거 시 환급 가능
  • 임대차계약서, 퇴실확인서, 통장사본 제출 필요

✅ 환급 신청:
관할 운영기관(예: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사)에 직접 신청
→ 약 7~10일 내 계좌 입금


✔️ 민간 기업 기숙사

  • 인사팀 or 복지팀에 퇴실 통보
  • 내부 점검 후 파손·미납 없을 경우 환급
  • 보통 급여 통장으로 자동 입금

✅ 하지만 환급 지연되거나 누락되는 경우도 있어
퇴실 시 환급 일정과 금액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4. 환급 신청 시 주의사항

항목내용
퇴실 점검 시설 파손, 도배 오염, 공용물 훼손 등은 감액 사유
계좌 미기입 환급 지연 원인 1순위 → 사전 입력 필수
전기·가스 미정산 공과금 체납 시 보증금에서 차감 처리됨
장기 미환급 일정 기간 환급 신청 없으면 소멸 처리될 수 있음
 

✅ 퇴실 전에 반드시 잔여 공과금, 열쇠 반납, 청소 상태 확인하세요!


📌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보증금 전액 환급 못 받았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요.
→ 학교 또는 관리사무소에 정산 내역 요청 가능합니다.
청소비, 수리비, 공과금이 차감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Q2. 보증금 환급 계좌를 늦게 제출했어요. 불이익 있나요?
→ 환급은 늦어질 수 있지만, 보통 소급 환급 처리 가능합니다.

Q3. 보증금 환급이 한 달 넘게 지연돼요. 어디에 문의하죠?
→ 대학은 학생지원팀 또는 총무과,
공공기관은 운영센터 또는 국민신문고 민원 활용 가능합니다.


✅ 마무리: ‘나갈 때 받는 돈’, 꼭 챙기세요

기숙사 보증금은 나중에 돌려받을 수 있는 돈입니다.
하지만
✅ 신청을 깜빡하거나,
✅ 퇴실 점검에서 불이익을 받거나,
✅ 계좌 정보 누락으로 지연되면
환급금이 오래 묶일 수 있습니다.

퇴실 전,
청소하고, 반납하고, 환급 신청하고.
내 돈은 내가 지킵시다! 💳🏡